진보적 미디어 운동 저널 <ACT!> 제27호 / 2005년 12월 6일
처음처럼... 한걸음 더 내딛기! |
||
김수목(노동넷 영상취재기자) | ||
부산에서 서울로 올라온 지 이제 2년이 다 되어간다. 2004년 대학을 졸업하고 다큐멘터리를 하고 싶어서 무작정 서울로 올라왔었다. 다큐멘터리 제작집단에서 몇 개월을 보내고 작년 10월부터는 인터넷방송국에서 영상기자로 일했다. 세상을 바꾸기 위해, 보이지 않는 세상을 알려내고자 하는 무기로 카메라를 선택했고 다큐멘터리 제작에서 현장의 속보영상을 생산하면서 나는 보여지는 활동만으로 어느새 비디오 액티비스트라고 불리게 되었다. | ||
다큐멘터리로 시작하다 | ||
2003년도에 모 단체의 토론회에서 2002년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열린 유럽사회포럼 영상을 보게 되었다.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반대하는 많은 사람들의 외침이 있었고 그들의 집회방식은 우리와는 달리 재미있게 축제를 즐기는 분위기였다.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다른 세상에서도 저렇게 목소리들을 내고 있구나, 하는 벅찬 감동(^^;;)과 함께 다른 세상은 정말 가능하게 느껴졌었다. 대학에서 밥꽃양, 주민등록증을 찢어라 등의 영상을 보았을 때처럼 가슴이 두근거렸고 가진 자들에게서 소외된 사람들의 모습, 세상의 부조리한 모습, 그러나 그 속에서도 이렇게 다른 세계를 향한 사람들의 행렬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려내고 싶었다. 카메라를 통해 세상을 고발하고 또 희망을 주고 싶었다. 졸업을 앞두고 난 다큐멘터리를 만들면서 살고 싶다는 생각으로 유럽사회포럼을 제작했던 다큐멘터리 제작집단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거 정말 힘든 일입니다.” 처음 다큐멘터리를 배우고 싶다고 했을 때 그곳에 계신 분이 내게 해준 말이다.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과는 달리 막상 부딪힌 현실은 촬영 테잎 프리뷰 하는 것도 마음먹은 대로 잘 되지 않았다. ‘사진처럼 정지화면으로 찍기’ ‘줌 사용하지 않기’는 2개월이 넘어서야 알게 된 촬영의 기본이었다. 컴퓨터 조립부터 촬영, 편집에 이르기까지 하나씩 알아가게 되는 것이 만만치 않았지만 이때 익힌 기본들이 지금은 내 활동 바탕이 되고 있다. 영상활동을 한다는 것이, 특히 운동적 성격을 가진 영상활동을 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옆에서 다큐멘터리를 직접 만드는 분들을 보면서 현실로 다가왔다. ‘나 할 수 있을까?’ 자신감을 잃어가고 있을 무렵 나는 같은 영상활동이지만 성격이 좀 다른 인터넷방송국에 들어가게 되었다. |
||
현장 속으로 들어가다 | ||
카메라를 들고 돌아다니면 “이봐요, 나는 와 안 찍어주요”라는 노동자분들이 있다. 카메라로 그분을 바라보면 붉은 투쟁머리띠를 다시 다듬고 씩 웃으며 브이자를 그리거나 아님 굳으셔서 사진 포즈를 잡으시는데 그런 분들을 보면 괜시리 기분이 좋아지고 힘이 난다.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노동자들의 투쟁. 그것이 직접적으로 대중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집회다. 처음에 주로 내가 했던 일은 집회를 찍어서 올리는 것이었는데 수많은 깃발들 속에서 매번 형식적으로 끝나는 집회들을 보면서 이건 아닌데,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만들고 싶은 영상물은 이런 집회가 열렸다가 아니라 주류언론에서 돌아보지 않는 그 집회에 묵묵히 앉아있었던 노동자분들의 삶이었다. 그리고 생존권을 사수하기 위해 주말마다 집회에 나오게 만드는 이 사회구조의 부조리였다. 나는 어떠한 영상물을 만들어야 할 것인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하는가? 하는 문제는 영상활동을 하는 내가 늘 가지고 있어야 하는 고민이 되어 버렸다. |
||
비철팀을 만나다 | ||
그런 고민들 속에서 나는 비정규직완전철폐를 위한 영상프로젝트팀(이하 비철팀)을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내겐 행운이었다. 난 이 비철팀을 참 좋아한다. ^^ 독립다큐, 인터넷방송국, 영화제, 노동현장 등 주요 활동영역과 활동방식이 다르지만, 소외되고 차별받는 사람들을 알려내고 그들과 함께하기 위해 이들은 참 열심히 살아간다. 그래서 진심이 느껴진다. 비철팀은 관점을 가진 속보성 영상물을 몇 개 만들었는데 지난 2월, 밤을 새워가며 민주노총 임시대대에 관련된 작업을 4개의 영상으로 만들었었다. 모두들 각자의 일로 지쳤음에도 밤늦게 달려와 구성을 짜고 프리뷰를 하고 팀을 나누어 1차 편집을 하고 2차 편집을 하고 그렇게 공동작업으로 완성했드랬다. 그때의 감동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어느새 단순한 속보성 영상물 제작에 적응되어 버렸던 내게 기획회의에서 구성회의를 거쳐 우리가 왜 이 영상물을 만들어야하는가라고 따져보는 시간들은 즐거웠고 나 스스로를 반성할 수 있게 했다. 그리고 그건 공동작업에서 느낄 수 있는 충만함이었다. 한컷한컷을 보며 적절한 편집인지 살펴볼 때는 거의 경이감(?)이 느껴졌고 내 영상이 기승전결이 없다는 얘기도 비철팀에서만 들을 수 있는 소중한 충고였다. ![]() 비철팀 안에서는 시간의 부족, 주체의 부족 등으로 기획영상물을 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그리고 기획하고 있는 영상을 오히려 혼자 작업하는 것이 더 나을 때도 있다. 그럼에도 나는 어느 영화제에서 보았던 ‘베트남에서 멀리 떨어져’라는 공동제작 영화처럼 비철팀에서의 공동제작을 꿈꾼다. 함께 만들고 싶은 사람들이 있고 아직은 비철팀이라는 이름으로 비철팀이 해야 할 작업의 소재들이 이 세상에 무수히 널려있기 때문이다. |
||
GO! MEDIACTION~ | ||
지난 11월 12일부터 19일까지 부산에서는 APEC 정상회담이 열렸다. 서울에서는 WTO의 첨병 역할을 하는 APEC에 반대하고 더 나아가 신자유주의 세계화를 반대하기 위해 미디어문화활동가들이 뭉쳤드랬다. 미디어문화행동이라고 불리는 이 조직(?)에서 나는 메이킹필름을 제작중이다. APEC과 12월에 열릴 홍콩 WTO까지 미디어문화행동의 활동들을 촬영하고 이후 여러 방면으로 투쟁들을 알려낼 계획을 가지고 있다. 아직 어떤 방면인지는 미지수지만...^^;; ![]() 미디어문화행동은 12월에 있을 홍콩 WTO에서도 부산에서와 같은 인터넷생방송을 계획하고 있다. 홍콩의 상황은 한국과 많이 다르기에 인터넷회선부터 엄청난 예산에 이르기까지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지만 사람들의 열정으로 조금씩 풀어나가고 있다. 지금은 열심히 후원금을 모으고 홍콩 답사를 준비하는 중이다. |
||
고민하며 행동하라! | ||
현장을 나가면서 어느 사이 들어버린 고민은 카메라를 들고 있는 나는 언제나 제3자란 느낌이다. 나는 그들을 찍지만 그들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이 현장 저 현장 돌아다니지만 깊이 있게 현장노동자분들의 절실함을 받아안지 못하는 나를 본다. 화물연대 이동윤 열사가 분신이후 장례식장에 찾아갔을 때였다. 화물연대의 상황에 대해 그곳에 계신 한분에게 인터뷰를 요청하자 “제발 제대로 알고 써요. 그냥 겉핥기식으로 하지 말고 진짜 취재를 하고 싶으면 법안도 보고 무엇이 문제인지 제대로 좀 공부하란말요.” 란 말을 들었다. 덤프연대 2차 파업 때 인터뷰를 한 노동자분은 “기자양반이 진짜로 덤프연대 노동자의 현실을 알고 싶으면 오늘 당장 여기 한 명만 붙잡고 집에 찾아가서 하루만 취재해 봐요. 그러면 우리가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바로 알거요. 다 똑같은 신용불량자요.”
다큐멘터리 작업, 노동현장의 속보성 작업, 공동제작, 미디어운동. 아직 더 많은 것들을 경험하고 싶고 보고 배우고 싶다. 앞으로의 내가 어떤 분야의 활동을 할지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분명한건 앞으로도 계속 영상을 제작할 것이고 비철팀 활동도 미디어문화행동 활동도 열심히 할 것이란 거다. 다가올 또 다른 활동들도.. 그 속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지금보다 더 많이 이야기하고 싶을 뿐이다. 지금 나는 어떤 영상을 만들어야 하지? 지금 우리는 어떤 활동들을 해야 할까? □ |
[ACT! 22호 나,미디어활동가] 나는 노동자와 함께 하고 싶다 (0) | 2016.08.17 |
---|---|
[ACT! 22호 나, 미디어활동가] '찰나의 거장 브레송' 사진전 관람후기 (0) | 2016.08.17 |
[ACT! 23호 나,미디어활동가] 투쟁하는 우리 (0) | 2016.08.17 |
[ACT! 26호 나,미디어활동가] 연대, 그가 이 세상을 살아가는 법 - 박종필 감독과의 인터뷰 - (0) | 2016.08.17 |
[ACT! 28호 나,미디어활동가] 나의 영상촬영 입문기 (0) | 2016.08.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