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적 미디어 운동 저널 <ACT!> 제32호 / 2006년 5월 30일 황새울에서 밝힌 저항의 스크린 |
||||||
여은 ( 인권영화제 자원 활동가 ) |
||||||
황새울의 노을은 특히나 아름답다고 한다. 대추리는 그동안 인권영화 정기상영회인 ‘반딧불’ 을 계기로 뜨문뜨문 몇 번 와본 적이 있는 곳이었지만, 말로만 듣던 노을을 직접 내 눈으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이곳을 사랑하는 사람 그 누구도 원치 않는 흉물스러운 철조망이 둘러쳐진 황새울의 들판 위로, 오늘도 어김없이 황금빛 노을은 말없이 지고 있다. 드넓은 들판 위로 너울너울 넘어가는 그 노을은 마치 황새울 영화제가 곧 시작할 것임을 알리는 것만 같아, 난 촉각을 한껏 곤두세운다. 여기까지 들어오는 것은 만만치 않은 과정들의 연속이었다. 평택역에서 모인 관객들과 스탭들은 어젯밤 비밀리에 기자재를 싣고 먼저 대추리로 향한 선발대 스탭들의 연락을 하염없이 기다리며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난 한시라도 빨리 대추리로 들어가서 영화제를 준비하는 손길에 보탬이 되고 싶은 마음뿐이었지만, 야속하게도 상황은 그리 녹록하지 않았다. 기다림의 시간은 기약 없이 길어지고, 연락은 언제 올지 알 수 없고, 그날따라 햇볕마저 유난히 따가웠다. 막간을 이용해 문화연대의 유인물을 함께 배포하기로 하고 평택역 주변을 돌아다녔다. 평택 시민들의 반응은 역시 각양각색이었다. 관심을 보이는 사람에게는 오늘 열리는 황새울 영화제를 홍보하기까지 했지만, 유인물의 제목을 보자마자 다시 가져가라면서 고함을 치는 사람도 있었다. 주류 언론에서 ‘평택 미군기지’ 라는 단어를 쓰는 빈도수는 점점 늘어나지만, 막상 그곳에서 살아온 대추리 주민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그래서일까. 주류 언론의 철저한 무관심을 반영하듯, 평택역의 분위기는 핏빛으로 얼룩진 대추리의 절박한 상황과는 너무나 괴리되어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드디어 선발대로부터 연락이 왔다. 영화제 자원 활동가들은 4인 1조가 되어 택시를 타고 ‘평화공원’으로 향했다. 예상했던 대로, 택시는 그곳에서 막히고 말았다. 굳게 막아선 경찰들의 무리 앞에서 더는 전진할 수가 없었다. 우리는 자초지종을 설명했지만 그들에게 ‘말’이 통할 리가 만무하다. 중대장인지 소대장인지 하는 사람은 ‘대표’ 한명만 들어와서 협상을 하자는 어이없는 요구를 했고, 나머지 사람들은 또 다시 지루한 시간을 그 앞에서 허비해야 했다. 그 사이에 경찰은, 마을 안으로 차를 타고 들어가는 주민인 듯한 사람들에게 불심검문을 하거나 몰래 채증을 하려고 하는 등, 기다리는 사람들의 분노를 사고 있었다. 사람들을 ‘무조건 통제’하기 위해 막무가내로 우리를 막고 있는 경찰들의 행태는 그들의 부당함을 반증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분하게 가라앉은 분위기 속에서, 정일건 감독의 <대추리의 전쟁>이 상영된다. 관객 중의 대다수는 주민들이었고, 때문에 호응도 높을 수밖에 없었다. 봄, 여름, 가을, 겨울로 쭉 이어지는 영화를 따라서 관객은 영화 속에 등장한 자신들의 모습을 보고 함께 욕하고 웃는다.
인권영화제의 마지막을 굳이 무리하면서까지 대추리에서 마무리했던 이유는, 현재 이곳이 인권영화제가 말하고자 하는 인권의 현주소를 가장 잘 보여주는 곳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어찌 보면, 일정 기간 선보이는 일회성 행사에 가까운 인권영화제가 시의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부분들은 이런 것이 아닐까 싶다. 때로는 부피를 축소해서, 움직이고 찾아가는 영화제로 거듭나, 영상을 통한 저항을 펼치는 것. 극장 안에만 갇혀 있는 영화제가 아니라 대추리로, 그 밖의 운동의 주체들이 있는 곳으로 나아가 스크린을 밝히는 것. 그것이 인권영화제가 추구하는 가치와도 부합하는 것이라 믿는다. 대추리는 너무나 고립되어 있다는 것을 오늘의 경험을 통해서 깨닫는다. 언제나 그러하듯 주류 언론은 진실을 외면하고 있고 경찰과 국가의 폭력이 점점 극에 다다르고 있는 시점에서, 대추리를 향한 연대의 움직임은 절실하다. 황새울 영화제는 인권영화제가 평택 투쟁과함께 하기 위한 나름의 역할이었고, 그것이 조금이나마 연대를 위한 힘에 보탬이 되었기를 바란다. □ |
[ACT! 32호 미디어운동] 한미 FTA저지 독립영화실천단의 실천과 고민 (0) | 2016.08.16 |
---|---|
[ACT! 32호 미디어운동] 대추리 주민들이 KBS, SBS에 분노한 까닭은? (0) | 2016.08.16 |
[ACT! 33호 국제미디어운동] 프랑스 ‘제 3 영역 미디어’ 회의 - 2006년 5월 6일- 5월 8일, 마르세이유 (0) | 2016.08.16 |
[ACT! 33호 국제미디어운동] 전세계 노동 미디어 운동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하여 : 케이프타운 국제 노동 미디어 회의 참가기- 2 (0) | 2016.08.16 |
[ACT! 33호 여성미디어운동] 여성주의 미디어를 배급하고 지원한다는 것 - 우먼메이크무비즈(Women Make Movies)의 활동 (0) | 2016.08.1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