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적 미디어 운동 저널 <ACT!> 제50호 / 2008년 4월 17일
광태 씨, [지금 보고 계신거죠?] |
김 영 순 (광주전남미디어행동연대 사무국장) |
![]() 이 영상을 보면서 2007년이라는 시기적 상황에서, 보편적 인간의 권리가 그렇게 쉽게 짓밟힐 수 있는지, 짓밟혀도 되는 것인지 쉽게 이해가 되지 않았다. 도저히 믿기지 않는 상황이 광주광역시청 시장실 앞 복도에서, 그것도 2007년 3월 7일, 세계여성의 날 하루 전에 벌어진 것이다. 그동안 여러 비정규직 투쟁 상황들을 언론과 인터넷을 통해 접했었지만 인권의 도시, 민주주의를 지켜내기 위해 목숨 바쳐 항쟁했던 곳 광주에서, 그것도 시민들의 공복이어야 할 행정기관에서 벌어진 일이라고는 믿기지 않았다. 이 믿어지지 않는 현실 앞에서 카메라를 들고 사회의 부조리한 문제점을 알려 내고자 하는 사람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하는 자기 질문을 하게 되었다. 마침 함께 활동하는 사람들과 의견이 맞아 ‘영상으로 제작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내자. 아주머니들이 일터로 돌아갈 수 있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자'는데 의견 일치를 보고 제작에 들어갔다. 그리고 제작된 영상은 같은 해 호남인권영상공모전에 출품하여 대상을 받았다. 작품의 완성도나 수준을 떠나 광주광역시청 청소용역 비정규직 노동자들, 40-50대 아주머니들이 속옷 시위를 벌여낸 것을 영상에 담았다는 것만으로 인권영상공모전의 대상 감이었을 것이다. 그렇게 만들어진 영상은 광주인권영화제 폐막작으로 상영되었다. 제작된 영상이 공모전 대상을 받은 것 못지않게 중요한 지점이 있다. 바로 영상 제작과정에서 보고, 느끼고, 배운 것들이다. 영상을 만들면서 공동 제작자 세 사람은 제작과정에서 비정규직문제가 단순히 직장의 문제, 해고와 생계의 문제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은 임금에서부터 모든 권리의 반도 안 되는 대우를 받지만 그와 반대로 모든 의무는 동등하게 지고 있다는 것, 차별 받지 말아야 하는데 차별 받고 살고 있다는 것, 그 차별 때문에 같은 일터, 같은 일을 하는 사람끼리 서로 불신하고, 불화하는 등 갈등 또한 심각하다는 거였다. 그리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늘려 비용을 줄이고, 그렇게 남는 이윤은 다시 재투자되기보다는 자본을 투자한 곳으로 들어가더라는 거였다. ![]() 그렇다면 우리의 광주광역시장 박광태는 -개인적으로 (영화 [광식이 동생 광태]를 패러디하여)명박이 동생 광태라고 부름- 청계천 복원 사업을 그대로 따라 배우는 모범생이다. 그런 박광태 시장이 정부의 정책을 솔선수범하지 않을 리 있겠는가? 정부에서 요구하는 것이라면 물불가리지 않고 해낼 광주광역시가 비정규직 고용을 늘리고 있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이야기 아닐까? 카메라 하나로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고용유연화 정책을 막을 수는 없다. 하지만 고용유연화 정책의 희생양이 된 광주시청 비정규직 아주머니들은 그냥 보고 넘길 수 없는 문제이다. 영상을 처음 만들 때부터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기를 바랐고, 공감하게 되는 의견이 광주시에 전달되기를 바랐다. 제작자들의 바람대로 어찌 되었건 광주시 공무원들도 영상을 보았다고 했다. 영상을 본 광주시청 공무원들이 잘 하던 방식대로, 고소고발도 -광주시청 비정규직 노동자들 대부분이 고소고발 당했고, 일부 민주노총 간부들도 벌금 등을 물고 있음- 고려했다고 했다. 고소고발 하고 싶었으나 영상 내용이 고소고발을 할 수 있을 만큼 비사실적인 부분은 없었다고 했다. 광주시청공무원이 1인 시위조차 막아 나서면서 카메라를 든 우리에게 했던 말들이다. 이제 광주시청 비정규직 아주머니들은 다시 일터로 돌아갈 수 없는 것일까? 계속해서 잘못된 정책을 고집하며 시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는 광주시가 어떻게 하면 변화될 수 있게 카메라로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고민은 계속되고 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함께 상황을 공유하고, 부조리한 부분을 고쳐 낼 방법은 없을까? 호남인권영상공모전 대상 수상 후 [지금 보고 계신거죠?]는 공공노조, 광주전남미디어행동연대, 광주인권영화제조직위원회와 공동으로 상영회 사업을 벌여 내고 있다. 상영회 사업을 시작하게 된 것은 [대추리전쟁], [우리학교] 등 상영회를 보면서 착안 한 것이다. 작품의 수준과 질(?)을 떠나서 조금이라도 많이 알려내고 싶었고, 그렇게 알게 된 사람들의 영향으로 광주시청 비정규직 아주머니들이 하루 빨리 일터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점입가경, 적절한 표현일지 모르지만 얼마 전부터 광주시청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1인 시위가 광주시청 앞에서 진행되고 있다. 처음 며칠은 별 문제 없이 진행 되었는데 1인 시위조차도 부담스러웠던 모양이다. 광주시민 1명이 하는 시위, 그 1인 시위조차 막으려는 광주시청 직원들의 초법적이고 몰상식한 행태는 계속되고 있다. 1인 시위자에게 하는 상식 이하의 발언과 욕설, 수십 명이 달라붙어 시위자를 시청 마당 밖으로 끌어내는 오만함. 지나가는 시민에게는 세금 쥐꼬리만큼 내면서 시민 행세한다고 비아냥거린다. 비정규직 복직 시켜달라고 1인 시위하는데 그것마저 막아 나서는 공무원들, 이것이 광주시가 감추고 싶은 모습이다. 그래서 카메라맨이 나타나면 렌즈부터 가린다. 그리고 초상권 있다고 우긴다. 공무 중인 공무원에게 무슨 초상권이란 말인가? 시민은 안중에도 없고 오로지 시장님을 향한 충성심만 보여주는 공무원들의 모습이 영상에 잡혔다. 바로 [지금 보고 계신거죠?] 제작자들이 일인시위 장면을 촬영한 것이다. 그 장면은 http://gjcc.net/ 에 가면 볼 수 있다. 시청비정규직 문제가 해결 될 때까지 계속해서 관심을 갖고 영상을 통해 무언가 해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 보고 계신거죠?]의 제작자가 비정규직 철폐 프로젝트 [비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1차 영상 제작은 완료했지만 2차, 3차 프로젝트도 구상 중에 있다. 광주시청비정규직문제가 해결되더라도 비슷한 문제가 계속되는 한 제작은 계속 되어야 하지 않을까? 관련 내용을 담은 곳입니다. http://gjcc.net/ |
[ACT! 50호 이슈] 4.9 총선에서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 지역미디어공공성위원회를 출범시키며 (0) | 2016.08.10 |
---|---|
[ACT! 50호 이슈] 오! 제주영상미디어센터여 어디로 가는가! (0) | 2016.08.10 |
[ACT! 50호 현장] 진주시민미디어센터로 새롭게 출발하며 (0) | 2016.08.10 |
[ACT! 50호 현장] 백발을 넘어 푸르름으로 - 관악 인터블루 라디오방송국 개국식을 찾아서 (0) | 2016.08.10 |
[ACT! 50호 현장] “지역 퍼블릭액세스 제작 네트워크 첫 모임” - 액션V 리액션을 꿈꾸다! (0) | 2016.08.1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