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는 뉴진스를 볼 때 속이 메스껍다

전체 기사보기/Me,Dear

by acteditor 2023. 5. 9. 15:14

본문

[ACT! 135 Me.Dear 2023.05.30.]

 

나는 뉴진스를 볼 때 속이 메스껍다

 

이한준 (제천간디학교)

 

 

 아이돌 산업은 최근 몇 년간 4세대 아이돌이라는 새로운 세대의 출범과 함께 급성장했다. 그 성장과 맞물린 미디어의 발전, 변화한 마케팅. 우상으로만 남아야 할 아이돌이 내 나이대와 가까워지며 아이돌과 나 사이의 허물 수 없는 벽이 느껴지기 시작했다. 그와 동시에 마케팅과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그 벽이 투명해져 반대편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뉴진스라는 인물이 아닌 그들을 둘러싼 무언가. 그것이 나의 메스꺼움을 만든다.

 

 요즘 아이돌 산업은 아이돌과 가까워지도록 유도한다. 친밀감을 판매한다. 아이돌과 11 채팅 서비스와 그 내용을 퍼 나르는 미디어, 아이돌 노래를 듣거나 관련 영상을 보기만 해도 내 알고리즘 속으로 침투하는 영상들, 영상통화 팬 미팅 등 우리는 아이돌에 대한 정보들을 원하지 않더라도 얻게 되고 얻고 싶으면 언제든지 알 수 있다.

 

 아이돌에 대한 정보 과다는 곧 아이돌에 대한 친밀감으로 이어지고 아이돌팬 사이의 벽을 얇아지게 만든다. 아이돌팬의 벽이 얇아짐으로써 느끼는 보이는 현상은 아이돌을 좀 더 자기 입맛대로 바꾸고 싶어 하는 것과 팬덤이 아이돌을 친구처럼 느낀다는 것이다. 진짜 자신의 주변 사람처럼 여기며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이 CF를 찍으면 좋아하는 감정을 넘어서 자랑스러워한다.

 

▲ 뉴진스 <Ditto> MV

 

 

 지금까지의 말만 들으면 당연한 팬의 감정을 말하는 게 아닌가 싶지만 포커스는 자랑스러워하는 감정이 아닌 친구, 또는 지인으로 느끼는 감정이다. 뉴진스의 마케팅 전략 중 하나인 반희수라는 가상의 인물은 대놓고 팬-아이돌 사이의 벽을 겨냥한다. 돌고래 유괴단의 신우석 감독의 인터뷰 중 뉴진스의 뮤비 속 반희수라는 인물로 팬과 아이돌의 관계를 그리고 싶었다는 내용은 내 예상을 확신으로 만들어 주었다. ‘반희수는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는 인물이며 ban heesoo라는 유튜브를 운영한다. 유튜브의 내용은 뮤직비디오 비하인드에 가깝다. ‘반희수라는 인물이 뉴진스를 촬영하고 서로 대화를 나눈다. 고등학생의 vlog에 가깝다. 이러한 마케팅은 소비자가 특정 매체에 일부가 되어 함께하는 듯한 감정을 느끼게 한다.

 

 

전설적인 이스터에그 아이작의 번제 추적과정

아이작의 번제는 슈퍼미트보이의 제작자 에드먼드 맥밀런이 만든 액션 어드벤쳐 인디 게임입니다. 주인공 아이작이 광신도가 된 어머니를 피해 지하 던전으로 도망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kidult114.tistory.com

(예시로 게임 ‘아이작의 번제 이스터에그 마케팅이 있다)

 

 현재의 미디어는 바야흐로 숏폼의 시대다. 수많은 유튜브 이용자가 1분 남짓의 숏폼 영상을 제작하고, 시청한다. 많은 사람이 시간을 숏폼에 갈아 넣는다. 1분 남짓한 영상을 수십 개, 많게는 수백 개씩 시청하며 정보를 머릿속에 집어넣는다. 점점 더 적은 행동으로 많고 빠른 정보를 공급받길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숏폼. 알고리즘으로 지배되는 숏폼은 아이돌 영상을 하나라도 시청하면 아이돌 영상으로 도배된다. 아이돌을 잘 몰라도 아이돌 영상을 하나 본 뒤 1시간 정도 숏폼 영상을 시청하고, 나무위키 문서를 읽으면 해당 아이돌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 아이돌들의 라이브 방송 클립, 예능 클립, 일상을 담은 사적 영상까지 1시간가량 넋 놓고 보고 있자면 아이돌은 우상이 아니게 된다. 되고 싶고, 닮고 싶은 무언가보다 내가 좋아하는, 사랑하는, 가지고 싶은 무언가가 된다. 이제 사생팬만 알 수 있던 정보들을 핸드폰만 든 채로 더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아이돌의 위치는 우상이 아닌 팬이 만드는 주관적인 인물이 된다.

 

 아이돌의 평균 나이대가 낮아지기 시작했다. 한 인터뷰에 따르면 이전에 아이돌들은 학생들을 주 타겟으로 삼았다고 한다. 하지만 출산율의 하락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학생들의 수가 줄어들고, 그로 인해 수입이 줄자 20~30, 더 나아가 40대까지 겨냥할 수 있는 아이돌이 필요한 것이다. 학생들이 주 소비층일 때 남자 아이돌은 근육과 야성을 강조하고, 여자 아이돌들은 첫사랑의 이미지, 풋풋한 이미지를 고수했다. 지금은 사라져 버린 세계관 마케팅(초자연적인 무언가가 연관되어 있다는 설정) 또한 이 세대의 특징 중 하나다. 현재의 아이돌들은 좀 더 당차고, 밝고, 어린 이미지를 강조한다. ‘갓기라는 수식어가 4세대 아이돌을 대변한다.

 

 어린 아이돌에게 따라오는 갓기라는 수식어는 내 목구멍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메스꺼움을 유도하는 것 같다. 아이돌이 더욱 어리고, 어리숙하고 보호 본능을 자극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미디어를 보면 내 현실과의 괴리감이 점점 심해진다. ‘저 나이가 저런 행동을 한다고?’ ‘저 나이엔 저래야 하나?’ 하는 생각이 따라오기 때문이다. 어쩌면 갓기라는 수식어는 지금의 아이돌 산업을 대표하는 말일지도 모른다. 제도적, 인식적으로 전혀 성장하지 않고 자본에 의해 기형적으로 성장한 아이돌 산업. 마치 몸만 커진 아기를 보는 듯하다. 나이 스물셋의 성인이 뿌에엥하며 울음을 엉엉 터트리고, 현실이었으면 절대 볼 일 없는 애교를 하고, 그것을 소비하는 팬층에 의해 유동적으로 변해가는 아이돌은 이제는 우상이 아니다. 우상은 우러러보는 존재지, 소유하고 싶은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평생을 다른 모습으로 살아온 사람이 대중의 입맛에 맞춰 자신을 뜯어고쳐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건 얼마나 끔찍한 일일까.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아이돌들의 자살은 아이돌 산업과 대한민국의 소비층이 전혀 배운 점이 없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개인의 정신적 문제로 치부하고, 몇몇 악성 팬들의 문제라고 문제를 회피한다. 우리 사회는 죽음으로부터 배우고, 또 잊는다. 아이돌 산업은 사람을 있는 그대로 두지 않고 대중의 입맛에 맞춰 상품화한다. 그런 상품화의 결과로 주기적인 연예인의 자살이 일어나는 게 아닐까 싶다. 사람과 일반 상품의 차이점은 대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죽은 사람은 돌아올 수도, 대체될 수도 없다. 하지만 지금의 아이돌 산업과 소비층은 이걸 잊은 것 같다.

 

 10대 중후반의 아이돌은 찾아보기 힘든 시대가 지나고 4세대 아이돌의 출범과 함께 나랑 동갑이거나, 나보다 어린 아이돌이 속속들이 등장했다. 내 기준에서 뉴진스는 4세대 아이돌의 방점을 찍었다. 노래나 뮤직비디오, 자체 생산 컨텐츠에서 나도 너희랑 같은 학생이야.’ 같은 느낌을 준다. 과거에 학생이었거나 현재 학생인 kpop 주 소비층의 감성을 자극한다. 나에게 뉴진스는 먼 존재로만 남아야 했던 아이돌을 나의 현실과 연관 짓기 충분했다. 뉴진스는 나의 열등감, 괴리감 트리거가 되었다. 뉴진스를 볼 때 느끼는 감정은 나랑 동갑이거나, 더 어린 누군가가 사회적으로 높은 위치와 파급력을 가진다는 열등감과 마냥 밝고, 해맑고, 엉뚱하고, 소녀미를 강조하는 미디어 속 뉴진스가 내가 느끼는 현실과의 차이점으로 인한 괴리감이다.

 

 이는 내가 대안학교에 다니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 , 고 모두 대안학교를 다닌 나는 비주류의 삶을 살았다는 불안감과 열등감으로 점철되어 있다. 일반 학교에 다녔을 때 내가 둘 수 있었던 수많은 직업의 선택지와 모두가 가지고 있는 학교생활에 대한 공감대가 내겐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 또 대안학교는 정규 교과를 필수로 교육하지 않는다. 학력도 인정되지 않는다. 학력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대학을 가려면 졸업 후 3년은 잡아야 한다. 대안학교는 일반 학교에서 사고 친 애들이 가는 곳이라는 편견이 디폴트 값인 사람들도 많다. 나는 학력도, 일반적인 공감대도, 재력도, 뛰어난 능력도 갖추지 못했다. 이러한 조건을 가진 채 사회로 나가야 한다는 불안감과 열등감. 이 두 감정은 뉴진스를 촉매로 머릿속을 헤집어 놓기 충분했다.

 

 현재 10대인 나와 내 친구들은 마냥 밝지도 못하고, 엉뚱하면 안 된다. 우리에게 미숙함은 귀여움이 아니다. 능력과 인성은 10대임에도 우리의 평가항목 중 하나다. ‘연예인이니까 나와는 연관이 없어라고 느낄 수 있게 해줬던 벽을 뉴진스가 마구 파고든다.

 

 목이 마르기도 전에 물을 떠다 주는 알고리즘으로 점철되고, 아이돌과의 친밀감을 판매하는 미디어는 내게 아이돌을 먼 존재로 남겨두지 않는다. 그렇기에 더더욱 현실과 괴리감이 느껴지는 것 같다. 지금의 아이돌 산업과 미디어는 너무 휘황찬란하다. 그리고 이렇게 말하는 듯하다 ! 너도 할 수 있어!’ ‘너도 학생이잖아’. 밝고 젊은 아이돌이 자살하고, 10대 학생의 현실은 너무나도 다른데도 말이다. 미디어와 아이돌 산업이 주는 메시지들은 내게 메스꺼움으로 다가온다.

 

나는 뉴진스를 볼 때 속이 메스껍다.

 

 

 

글쓴이. 이한준

다프트 펑크의 삶을 꿈꾸는 사람. 미디액트 인턴 활동 중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