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다큐 창작자가 쓰는 다큐 리뷰- 하나도 사소하지 않은 우리들의 말하기 방식 (윤가현 감독)

전체 기사보기/리뷰

by acteditor 2022. 7. 7. 12:21

본문

"그러니까 모래알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은 절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를 드러내고 문제를 이야기하는 우리들의 방식은 여성감독들이 오랫동안 고민해 온 방식이며, 그 이야기를 하는 방식을 가볍게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말이다."

 

[ACT! 131호 리뷰 2022.08.17.]

 

다큐 창작자가 쓰는 다큐 리뷰

- 하나도 사소하지 않은 우리들의 말하기 방식

 

 

윤가현 (다큐멘터리 감독)

 

오래전부터 하고 싶은 말이 있었다오늘의 영화리뷰는 그 말을 하고 싶어서 쓰는 리뷰다.

 

  모두 다 카메라를 지니고 다니는 시대. 핸드폰을 카메라 화질 때문에 바꾸는 시대. 하루에 셀 수 없이 많은 이미지가 생성되고 사라지는 시대. 영상이 난무하는 거대한 시대에 태어나, 거창한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 되었다. 영상을 즐겨보면서 영상은 왜 영상인가 고민하진 않지만 영화는 늘 보면서 "영화란 무엇일까?"라는 답이 없는 질문을 계속 던지게 된다. 이러한 질문은 늘 재미가 없지만 새롭고, 생각할 때마다 답이 없다. 마치 "모래사장에서 모래가 왜 모래가 되었을까?"라는 질문을 하는 것과 다름없지 않을까? 근데 이런 쓸 데 없는 질문이 절대 쓸데없지 않다는 생각을 한다. 그런 생각을 하면서 모래알을 자세히 하나씩 구다보는 일은 절대로 재밌으니까. 이 모래는 어떤 조개껍질에서, 어떤 소라껍데기에서 갈려서 모래가 되었는지 상상하는 일은 재밌으니까.

 

  그래서 어떤 영화들은 어떤 조개껍질로부터 왔는지, 어떤 영화들은 소라껍질로 왔는지 궁금한 영화들이 있다. 또 영화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어떤 조개껍질로부터 왔는지, 어떤 소라껍데기로 왔는지 알 수 있는 영화들이 있다. 나는 주로 후자의 영화들이 좋다. 영화를 보고 그 영화 자체만으로 감독과 대화를 주고받는 기분. 그래서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게 된 것일지도 모르겠다. 어디에서부터 왔고, 어떻게 조각이 났고, 그래서 어떻게 모래알이 되어 이곳에 반짝이고 있는지를 모두 관통하는 그런 영화.

▲영화 <못, 함께하는> 스틸컷

 

  나의 첫 영화 <가현이들>을 만든 2016년에는 나와 같이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든 여성 감독들이 꽤나 많았다. 주로 영화들은 여성감독 본인들이 주인공이었고, 자신이 가진 고민이나 문제를 스스럼없이 드러내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그런 영화로 남순아 감독님의 <아빠가 죽으면 나는 어떡하지(2015)>와 이나연 감독의 <,함께하는(2016)>의 영화가 있다. 이 두개의 영화는 나와 비슷한 시기에 완성되어 관객들에게 보여졌는데, 그때만 하더라도 "여성 감독들이 왜 이렇게 쉽게 자기 이야기를 하느냐?"고 묻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때에는 그런 질문을 해도 되는 시기였다는 게 지금에 와서 웃기지만... (불과 6년전인데 이렇게 세상이 변했다) 우리는 그것이 쉬운 방식도 아니고, 고민해서 우리의 언어대로 우리의 방식대로 이야기를 풀어가려는 노력이라는 것을 증명하려 은근히 애썼다. 물론 나중에는 그런 질문 자체가 무례한거라며 대답을 할 가치조차 느끼지 못했지만...

 

  <아빠가 죽으면 나는 어떡하지?>의 순아는 세상 젊은이들이 다 힘들다는데, 아빠의 용돈으로 그다지 힘들지 않음을 이야기하며 오히려 이렇게 남들보다 "편하게" 살아가는 것이 열심히 사는 것이 아니게 보이는 것과, 한사람의 몫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스스로 존재가치를 고민한다.

<, 함께하는>의 나연은 기분전환으로 전등 바꾸기에 스스로 나서지만 못하나가 빠지지 못해 고칠 수 없는 오래된 전등과 함께 지내게 되며 마치 빠지지 못한 전등과 새 전등이 나연의 가족과 비슷하다는 것을 생각하며 자신의 가정이 이혼과 재혼을 반복하며 만날 수 없는 가족들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영화 <아빠가 죽으면 나는 어떡하지?> 스틸컷

 

  영화의 내용을 이렇게 간단히 소개해보면 '에, 너무 쉽잖아. 별거 아니잖아'하고 누군가는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빠지지 못하는 못 하나에서 만날 수 없는 가족을, 아빠에게서 받는 용돈 하나로 부터 스스로에 대한 존재가치를 어떻게 이야기하는 것이 쉽겠냐고 나는 묻고 싶다. 그리고 우리의 사소한 이야기가 정말 사소했는지. 사적인 이야기가 결국 사적인 것 이상은 없었는지. 나는 가장 사적인것이야 말로 세상을 관통할 수 있는 정치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화는 결국 관객과의 대화를 하기위한 매개체인데. 처음 위에서 말했듯이 영화를 보는 것 그 자체만으로 감독과 대화를 하는 기분이 드는 영화가 바로 이 두편이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대화를 하는듯한 이 두편의 영화가 관객이 보기에는 쉬운 영화여도,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를 위해 말하는 방식을 고민하는 것은 쉽지 않았을 거라는 말을 하고 싶었다.

 

  그러니까 모래알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은 절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를 드러내고 문제를 이야기하는 우리들의 방식은 여성감독들이 오랫동안 고민해 온 방식이며, 그 이야기를 하는 방식을 가볍게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말이다. 물론 지금은 다들 여성감독이, 자신의 이야기를, 자신의 가족을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이 익숙했지만 그때에는 그렇게 만드는 방식이 마치 "너무 쉽게" 말하는 방식이라는 생각들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리고 나또한 나의 이야기를 스스로 말하며 내 영화가 쉽게 문제를 이야기하고, 그랬기 때문에 내가 던지는 문제를 가벼운 것으로 여길까 두려워하던 때가 있었다.

 

  지금은 좀 달라졌을까? 누군가가 지금의 내 영화를 보고 "? 나도 저 정도는 만들 수 있을거 같은데"라고 한다면 내 영화는 성공한 것일지도 모른다. 나는 늘 "저 정도"가 되어 사람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꺼낼 수 있는 용기를 주고 싶다. 어쩌면 나를 통해 관객에게 말을 하는 방식의 영화는 '영화라고 불리는 거대한 예술'의 벽을 무너트리고 누구나, 어떤 이야기로 자신만의 영화를 만들 수 있다고 보여준 것이 아닐까? 그러니까 의 영화는 하나도 사소하지 않고, 그 방법도 사소할리 없다.

 


필자소개. 윤가현

 

겁도 없이 다큐멘터리 영화 두편을 만들었다.
이제는 겁이 나도 "그냥 하자"라는 생각을 주로 한다.
왜냐면 미래의 내가 해낼거니까.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