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CT! 106호 특별기획] 널 잊지 못할 거고, 잊지 않을 것이다 - 홍수영(전 인디다큐페스티발 사무국장)

본문


[ACT! 106호 특별기획 박종필을 기억하며 2017.9.14]


박종필과의 추억 - 널 잊지 못할 거고, 잊지 않을 것이다.


홍수영(전 인디다큐페스티발 사무국장)



  무슨 이야기부터 해야 할지 모르겠다. 

  아직 그를 생각하면 냉정해지지 못하는 탓도 있지만 내가 제작을 하는 사람이 아니어서 그런지 딱히 인상적이거나 감동적인 에피소드는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감동적이기는커녕 답답하고 미련했던 기억만 있는 사람. 왜 때문에 나는, 그리고 우리 모두는 그 미련하고 답답한 사람을 보내며 이다지도 큰 슬픔과 상실감을 느꼈던 걸까. 

  아마도 그건 염치가 사라진 이 시대에 너무나 염치가 있었던 보기 드문 사람이었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자신이 속한 이 시대에 대하여, 이 사회에 대하여, 자신의 영화에 대하여……

  글을 너무나 못쓰는 관계로 초등학교 때 일기조차 쓰기 힘들었던 내가 무거운 손을 들어 자판을 두드리게 된 것은 그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와 염치를 차리기 위한 것이다. 

  조촐한 추억담 몇 가지를 이야기하겠다. 



  1. 

  우선, 나는 나보다 두 살이나 나이가 많은 그를 늘 “박종필~”이라고 불렀다(필~~ 이렇게 끝을 좀 길게 늘여서). 선후배 관계와 나이를 들먹이지 않는 것이 쿨하고 진보적이라는 걸 다들 알지만 이렇게도 이물감 없이 이름만 부를 수 있는 사람은 그 나이대에서 찾아보기 힘들었다. 난 지금도 이 점을 높이 평가한다. 


  2. 

  그는 나를 인디다큐페스티발 사무국장으로 ‘끌어들인’ 사람이었다. 웬수……

  당시 난 인디포럼 사무국장이었는데 안 그래도 가난뱅이 영화제 걱정에 맘 편할 날이 없는 와중에 엎친 데 덮쳐도 유분수지 숫제 거지영화제 살림을 하나 더 맡은 것이다. 영화제 일을 하지 않는 기간에는 뭔가 돈벌이를 해야 하는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재주가 없었던 나는(진짜로) 덜컥 인디다큐 사무국장 일을 맡아 버리고 말았다. 

  그렇게 2년을 하고 나니 힘이 든 건 둘째 치고 영화제 일 전반에 회의가 온 나는 사무국장직을 그만두고 돈을 벌기 위해 부산국제영화제로 들어갔다. 배신을 하고 운동 조직을 빠져 나온 것 같은 기분이었던 나에게 박종필은 “수고했어. 수영인 할 만큼 했지”라며 나를 안심시켜 주었다. 마치 면죄부를 얻은 느낌이었다. 

  하지만 1년 후 예상치 못하게 빡셌던 부산영화제를 끝내고 몸과 마음이 다 너덜너덜해졌던 나에게 그는 참 뻔뻔하게도 “수영아, 한 번만 더하자, 응!” 이러는 거였다. 난 굉장히 단호하게 “싫어!”라고 했지만 그는 일단 한번 만나자고 했다.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뒷동네 어느 식당에서 삼계탕 한 그릇을 사주고는 “야, 한 번만 더 하자, 응? 응?”을 반복했다. 휴…… 개미 같은 목소리로 “응” 하고 대답해버렸는데, 내가 떠나왔다고 생각한 독립영화와 운동 전체에 마지막 인사를 해야겠다는 생각도 있었지만 더 큰 이유는 그에 대한 미안함 때문이었다. 내가 힘들면 얼마나 힘들다고 그 사람만 할까. 그는 인디다큐 일뿐만 아니라 장애인운동, 빈민운동에서도 자기 역할을 하고 있었고 심지어 인디다큐에서는 자신의 영화를 상영하지도 못하는 상황까지 있었(자기 영화가 까인 영화제 일을 한다는 건 보살과 같은 마인드 아니면 불가능한 일이다).


3. 

  그는 답답한 사람이었다. 명쾌하고 똑 부러지는 스마트함보다는 자꾸 따지고 자신이 이해될 때까지는 쉽게 넘어가 주지 않는 고집이 돋보인 사람. 다들 알겠지만 똑똑하고 판단 빠른 사람은 많아도 이렇게 묵직하게 원칙을 몸으로 사는 사람은 드물다. 그래서 그가 좋았다. 그의 고집에 대해선 두말 하면 잔소리고 다들 너무 잘 알 터이다. 그래서 많이들 싸웠다고 하는데 난 “멍충이”하고 흉본적은 있어도 싸운 적은 없었다. 내가 누구랑 싸우질 않는 사람이기도 하지만, 그가 유독 나에겐 너그러웠다고 자랑하고 혼자 착각하고 살겠다(실은 나를 자기 식구가 아닌 조력자라고 생각한 것에서 나온 덜 엄격함이었을 거다). 



  

▲ 2005년 <비정규직 완전 철폐를 위한 영상 프로젝트> 회의에서의 박종필과 홍수영



4. 

  언젠가부터 까페 창업을 꿈꿨던 나에게 박종필은 “수영이가 한다면 내가 집 담보를 해서라도 투자하지”라고 해줬지만 얼마 후 “수영아, 돈은 노들야학 만드는 데 먼저 써야겠어”라고 해서 없던 이야기가 됐다. 난 애초에 그에게서 투자받을 마음이 없었지만 뭔가 비빌 언덕 같고, 큰오빠 같고 좋았다.


5. 

  난 그가 간이 아프다는 걸 알고 있었다. 근황토크 메신저를 주고받던 중 간이 안 좋은데도 수지침 맞아 가며 술을 마신다는 그에게 “너 그러다 골로 가는 수가 있어. 그러다 간암 되면 어떡할라 그래 인간아~ 술 고만 마시고 버섯을 많이 먹고, 된장찌개 먹고, 어쩌고 저쩌고 블라블라……” 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가 간암을 얻은 것이 왜 술 때문만이었겠는가. 영화를 좀 봐라. 다 보통 멘탈로는 감당 할 수 없는 몸과 마음을 쥐어짜야 하는 작업들이었다. 우리 시대의 가장 아픈 부분들에 카메라를 들이댄 결과물들이었고 영화를 찍고 빠지는 것이 아니라 함께 그 자리에서 쏟아지는 비를 같이 맞는 사람이었으니. 이 점이 또 가슴을 친다. 

 

6. 

  그를 보러 강릉 요양원엘 갔더랬다. 옆을 지키고 있던 송윤혁 감독이 고맙기도 하고 기특하기도 해서 밥값이라도 주고 싶어 말을 꺼냈더니 하는 말이 “감독님이 혹시 이런 일이 있을까봐 신신당부하셨어요, 절대 받지 말라고……” 아, 참 내, 진짜 자기같이도 했네, 자기 같은 짓 했어. 정말 끝까지…… 눈물이 흘러 하늘을 쳐다보면서도 헛웃음을 치고 말았다. 


7. 

  그가 떠나기 두 달 정도 전에 그와 통화 한 적이 있었다. 목포 신항에 있던 그는 목소리가 피곤해 보였고 자다 일어났냐고 했더니 “응 정신이 없네” 라고 했다. 이게 마지막 통화였다.

  좋은 이야기 좀 해줄걸...


8. 

  그는 매력 있는 남자였다. 

  <김어준의 뉴스공장>과 인터뷰한 걸 들은 친구가 어쩜 목소리가 그렇게 좋고 말씀도 조리 있게 잘 하냐고 한 적이 있다. “뭐가 말을 잘해~ 박종필한테 이야기해주면 좋아하겠네 하하하”라며 까불었지만 난 그가 남자 매력의 볼모지인 이 척박한 독립영화계에서 남자다운 매력이 있는 몇 안 되는 사람 중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내가 아는 한 그는 간간이(인지 계속인지 확실치 않지만서도) 연애를 했었고 그럴 만하다고 생각한다. 이건 그가 좋아할 최고의 칭찬일 거다(동의 안 하고 비웃을 사람 많겠지만 난 진짜 그렇게 생각한다, 이 사람들아).


#

  이런저런 이유로 해서 난 양평으로 이사해서 전원생활을 하고 있다. 정말 날씨가 쨍하게 좋은 날 테라스에 앉아 있으면 “좋다” 소리가 절로 난다. 하지만 곧바로 찾아오는 죄책감과 미안함. 나만 이렇게 좋아도 되는 거냐…… 나 대신 시대의 짐을 진 동지들과 열사들, 억울하고 고생스럽게 살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에 대한 죄책감. 

  그를 공유하는 수많은 지인들과 만날 때면 어김없이 그를 떠올리겠지만 날이 좋아 행복할 때도, 좋은 음식을 먹을 때도, 나에게 좋은 일이 일어나는 순간마다 동반되는 죄책감과 함께 박종필을 떠올리게 될 거고 그리고 또 잊지 않도록 노력할 거다. 

  박종필을 잊는 날은 내가 나를 잊는 날이 될 거다.   □ 

 



글쓴이 홍수영



현재 무직으로 양평에 거주하고 있어 양평아씨로 불리기도 하지만 얼마 전까지는 상수동까페를 운영하여 홍마담으로 불렸었다. 한국독립영화협회 초대 사무차장을 지냈고 인디다큐페스티발, 인디포럼 사무국장도 했었다. 가장 오랜 직함은 “언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