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CT! 28호 특집] 2005년 5대 미디어운동 5th. 뉴미디어 개시와 뉴미디어 난개발 비판 확산

이전호(78호 이전) 아카이브/특집

by acteditor 2016. 8. 17. 14:19

본문


5th. 뉴미디어 개시와 뉴미디어 난개발 비판 확산

 

 

ACT! 편집위원회

 

1990년대 후반 이후 끊임없는 논란 속에서 지속되고 있는 디지털 방송 전환정책과 맞물려 속속 뉴미디어가 등장하고 있고 이는 2005년부터 본격화되었다. 위성 및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인터넷방송(IP-TV), 휴대인터넷(wibro) 등이 상용화되었거나 준비를 서두르면서 계속 쟁점이 되어왔다. 그 이름만 놓고 보더라도 알듯 모를 듯 알파벳 짬뽕(alphabet soup)이 아닐 수 없다. 미디어운동 진영에서도 올해부터 뉴미디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다양하게 시도하기 시작하였고, 미디어운동 연구저널 [ACT!]에서도 올해부터 뉴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담론이 선보였다.


이것들이 도대체 뭔가? 디엠비라니?

김정대 (민주노동당 정책연구원)의 “DMB 환상을 버리쇼! 우리의 매체가 될까?”[제19호, 2005년 03월 22일]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는 핸드폰이나 전용 단말기를 사서 자동차와 기차, 집과 사무실에서도 2인지에서 7인지의 손바닥만한 화면으로 뉴스와 드라마를 볼 수 있고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또한, IP-TV는 “인터넷 방송”으로 광대역인터넷망을 PC가 아니라 TV에 연결하여 인터넷 하는 것처럼 방송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고, 광대역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을 또한 이동하면서 즐길 수 있다는 것이 휴대인터넷(wireless broadband)이다.



이건 뉴미디어 난개발! 뉴미디어 정책 비판

이 러한 디지털 뉴미디어가 도대체 무엇이고 왜 필요하며 우리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는 전문 용어들이 난무하는 언론보도에서는 찾아볼 수가 없다. 바로 그런 이유로 더 세심해야 할 담당 부처나 기관들은 폐쇄적 추진 방식으로 논의의 민주적 참여를 봉쇄하고 있다는데 일차적인 책임이 있을터이지만, 담당 부처나 기관들은 그럴 필요조차 느끼지 않는 더 심각한 상황이다. 한국의 IT와 문화산업으로 경제를 선도해나가는 기업들과 함께 돈벌이와 실적과 자리보전에 신경쓰는데 여념이 없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시장 확대와 정부의 막무가내식 정책 추진, 그에 영합하는 학계, 장밋빛 환상을 부풀리기에 여념이 없는 언론의 사자동맹(정부-기업-언론-학계)은 이러한 뉴미디어 난개발 상황에서, 미디어 공공성을 실종시켰다.

 

김평호(단국대학교 방송영상학부 교수), “압축성장 - 압축적 정보화의 문제 - 뉴미디어 정책의 기본성격”[제20호, 2005년 04월 29일]


김명준 (미디액트 소장)[제20호, 2005년 04월 28일], “늦었지만 다시 한번, ‘다른’ 공공성과 ‘다른’ 운동을 위하여”

  

 

뉴미디어 대응을 위한 미디어운동의 재조직화 시도

이러한 비판적 인식의 확산 속에서 올해는 또한 시민사회의 자기 (재)조직화의 단초들이 형성되는 해였다. 지난 3월말 대대적으로 발족하여 활동을 시작한 미디어수용자주권연대는 다양한 방송 정책 사안에 대해 70여 개 회원단체들 내부의 편차를 줄이기 위한 내부 교육을 진행하고 있고, 4월 말 이후 방송융합시대의 시청자주권을 어떻게 확보할 것이냐를 중심으로 한 월례포럼을 해왔다. 전국언론노동조합, 방송프로듀서연합회, 방송기술인연합회 등을 중심으로 방송통신구조개편위 TFT가 구성되어 주로 방송통신융합 규제기구 구성방안 및 법제도 정비방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다른 한편, 미디어정책포럼(문화연대,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 미디액트 등)은 뉴미디어정책과 사업 추진 과정에 대한 개입, 공개 세미나(진보적 컨텐츠, 미디어교육, 퍼블릭액세스 구조, 공공적 성격의 PP 혹은 CP 등), 융합규제기구를 통한 법제 대응을 주요 활동으로 삼아 3월 말에 “뉴미디어 난개발과 배제된 수용자권리를 찾아서”를 개최한 이후, 10회에 걸친 뉴미디어 난개발 비판과 뉴미디어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연속 세미나를 이어나갔다.

미디어 진보를 위한 모임(가칭)은 디지털 뉴미디어 환경에서 어떻게 진보적 콘텐츠를 활성화하고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통하게 할 수 있을지, 이를 포함한 대안활동을 펼치기 위한 정보통신운동, 미디어운동, 그리고 문화운동이 각 운동의 의제들과 성과들을 공유하고, 공동 활동 구조를 모색하는 워크숍을 진행하기도 했다.

 

김형진(문화연대 활동가), “뉴미디어에 대한 현기증에서, 정보통신/문화/미디어 운동의 네트워크로: ‘뉴미디어 시대, 정보통신/문화/미디어 활동가 워크숍’을 마치고”[제21호, 2005년 05월 25일]


조동원(미디액트 정책연구실장), “디지털 뉴미디어 환경, 운동의 (재)조직화가 시작되다!”
[제20호, 2005년 04월 29일]

 

뉴미디어 공공성을 위한 또 하나의 접근: 대안 뉴미디어?

기술 발전으로 미디어에 대한 기술적 접근 장벽이 낮아져왔고, 참여 민주주의에 대한 권리 의식의 고양과 맞물려 인터넷 등의 대중적 공공 영역의 출현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 자신의 의견과 주장을 알려내고자 하는 강력한 욕구를 가진 대중들이 거대한 규모로 성장해왔다. 보다 민주적인 미디어 수용/이용의 가능성은 생산자와 수용자가 따로 구분되지 않는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제작 주체들의 자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새로운 기술의 발전만큼이나 높아져왔다. 이러한 자율적 기술의 활용과 문화 활동은 디지털 뉴미디어가 대안적이고 독립적이며 공동체를 위한 우리의 미디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게 한다.


조동원 (미디액트 정책연구실장), “끌리면 가자! ‘모바일 액세스 센터’”[제21호, 2005년 05월 25일]

 

 

이러한 대안적인 뉴미디어 전략과 실천은 공공적인 차원의 디지털 뉴미디어 정책 속에서 활성화 되어야 하고, 사회 문화 발전을 위한 전략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기술결정론과 신속주의, 실적주의에 경도된 정부와 기업에 대한 비판은 보다 더 강력해야 하며, 동시에 미디어에 대한 참여적인 액세스 권리가 보다 중요하게 보장되고, 그리고 조직된 우리의 힘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우리 스스로 우리를 대변해야 한다.

2006년은, 이러한 올해의 시행착오를 냉정히 평가하면서, 막무가내의 (뉴)미디어 난개발을 막아내고 정책대안과 진보적 콘텐츠를 생산하여 참여하는 운동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바라건대 각 운동 간의, 전체 사회운동 내부의 활발한 상호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어야 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