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공동체라디오연합의 여성국제네트워크 WIN과 3.8 세계 여성의 날 공동 프로젝트 | ||
김 지 현 (ACT! 편집위원) | ||
미디어운동을 여성의 관점에서 접근하려는 움직임은 적어도 수십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직도 낯설게 느껴지는 듯 하다. 이것은 그동안 미디어와 여성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주로 학문적 담론에서 일어났고, 본격적으로 정책적 조명을 받게 된 것도 비교적 최근의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성차별 개선을 위한 텔레비전 모니터 결과 보고서』(여성부, 윤석민, 이철주, 2003)에 따르면 이 의제가 정책적으로 본격적인 조명을 받게 된 것은 국제적으로는 1995년 베이징 유엔여성회의에서 미디어가 공식 안건으로 채택되면서부터이고, 국내에서도 실질적으로는 1995년 세계화추진위원회(1995)의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10대 과제’와 ‘여성발전기본법’ 등에 대중매체를 통한 성차별 개선 조항이 포함되면서부터라고 한다. 특히 주류 미디어의 여성 재현에 대한 모니터링이나 비판적 분석이 아니라 직접 미디어를 들어 제작하고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만들어내는 실천적인 활동들은 국내에서는 1989년에 세워진 여성주의 영화제작단체 바리터를 비롯하여 몇몇 간헐적으로 이루어진 역사적 사례를 제외하고는 1990년대 말 2000년도에 들어서야 비로소 그 본격적인 싹을 틔우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비판적 문제의식은 충천하되 직접적인 실천은 아직까지 걸음마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단 WIN이 소속되어 있는 세계공동체라디오연합 AMARC에 대해 살펴보자. AMARC은 공동체라디오운동을 위한 국제 네트워크로서 약 110여개의 국가에 3000명 정도의 회원들을 두고 있다. 국제적인 연대와 협력 속에서 공동체 및 참여적 라디오의 발전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AMARC이 1983년부터 처음 가닥을 잡아가기 시작한 점을 고려해볼 때 이미 1990년 더블린에서 열린 제4차 아막 세계회의에서 여성참가자들이 공동체라디오 영역에서 활동하는 여성들의 국제 네트워크를 창설하자고 제안하였고 1992년 멕시코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WIN이 출범하게 되었다는 점은 여성주의에 대한 AMARC 내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작년 11월 제1회 아시아태평양 아막 지역총회에 다녀온 한국 참가자들의 말을 들어보면 WIN은 AMARC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거니와 젠더에 관한 의제를 아막의 주요의제로 채택하도록 하는데 있어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 | ||
# WIN의 주요 원칙 | ||
WIN의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다. WIN은 AMARC의 국제운영위원회에 참여할 여성위원회 부의장을 선출하고 WIN의 멤버들은 아막의 다양한 결정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 ||
#WIN의 주요 활동 | ||
WIN에서 진행하는 활동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여성들의 임파워먼트와 능력 배양: 공동체라디오에서 활동하는 여성들을 위한 능력배양 프로그램을 조직하여 라디오가 여성들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미디어가 되도록 한다. 2. WIN 강화: AMARC에서의 WIN의 지역 네트워크와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한다. 3. 라디오 캠페인: 국제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이벤트를 위해 공동의 노력을 시도하고 지식을 공유한다. 4. 로비: 국제 여성 운동에서 여성들의 커뮤니케이션 권리를 촉진하고 공동체 라디오에 대한 의식을 고양시킨다. 5. 펀드레이징과 자원 동원: AMARC WIN의 프로젝트 및 활동들을 위한 기금과 기타 자원들을 마련한다. | ||
# 3.8 세계 여성의 날 공동 캠페인 | ||
올해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을 맞이해 WIN에서도 각국의 언어로 제작된 여성관련 공동체라디오 방송프로그램을 모집해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인도, 미국, 케냐, 멕시코, 캐나다, 요르단 등 다양한 국가의 프로그램들이 올라온 가운데 한국에서는 레즈비언 라디오 프로그램 제작단체인 '레주파 (L 양장점)'에서 제작한 (무려!) 4개의 프로그램이, 그리고 부산 지역 MBC로 액세스 하고 있는 프로그램 중 부산여성회 산림이 만든 한 개의 프로그램이 올려졌다. 모든 공동체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이 사이트에 올라온 프로그램을 재활용할 수 있다. 1. 2004년 성매매 개정법 시행 이후 그들의 삶: 이 프로그램은 성매매 여성들의 삶이 2004년 성매매 방지 및 피해자 보호, 그리고 처벌에 대한 법률 개정 이후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관한 토크쇼이다.
1.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http:/www.kscrc.org) 한채윤과의 대화: 부치 문화나 펨 문화 등 한국의 레즈비언 문화에 대한 논의 2. 레즈비언 뮤지션 이반지화와의 대화 3. 월별 제작 프로그램, “L을 찾아서” : 이 프로그램은 역사, 예술, 음악에서의 레즈비언을 찾아본다. 다음의 클립은 그 중 조선왕조 세종대왕의 세자비에 대해 이야기한다. 4. 격주 제작 프로그램 “보스톤의 데이원”: 이 프로그램은 해외 유학을 떠난 레주파 회원 데이원의 일기라 할 수 있다. 레즈비언 유학생으로 살아가는 그녀의 보스턴 생활을 다룬 이 프로그램은 그녀의 커밍 아웃 스토리와 미국에 있는 친구들의 인터뷰를 담고 있다.
| ||
<참고 사이트>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