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 93호 우리 곁의 영화 2015.6.15]
우리 곁의 영화
-여는 글
조민석(ACT!편집위원회)
우리 곁의 영화는 영화적 교양의 기본을 위한 안내문입니다. 여기에 갈증이 있는 분들이 더 이상 메스꺼운 치장이나 허세든 말발에 겁먹거나 호도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일을 시작합니다. 이를 통해 영화를 둘러싼 우리 사회의 환경이 나아지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영화는 영화다
영화는 우리의 일상 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미 오래전, 영화가 이제 막 등장했던 100여 년 전부터 그랬습니다. 그런데 영화는 어떤 모습으로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을까요?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요? 오늘날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누구나 영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영화가 이토록 우리 곁에 가까이 있는 만큼 우리는 영화에 대해 충분히 알고 있을까요?
영화에 대해 잘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에겐 다양한 방법이 열려 있습니다. 서적, 강좌도 많고, 신문과 잡지에서도 심심찮게 영화 이야기를 접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매개를 거치는 과정에서 스스로 질문을 던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누가 영화를 만들고, 그들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물어보는 것이죠. 오늘은 이러한 질문들을 중심으로 영화에 대해 생각해보고, 기회가 된다면 확장이 필요한 이야기도 이어가 보려고 합니다.
지금 제가 ‘영화’라고 부르고 있는 것은 극영화만을 가리키지 않습니다. 영화가 처음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을 때, 그것은 다큐멘터리이기도 했고, 애니메이션이기도 했습니다. 제가 ‘영화’라고 부르고 있는 것은 동영상 전반을 아우르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조금 더 규명하자면, 영화란 지속시간을 가진 이미지쯤 되겠습니다. 이 이야기를 당장 상세히 할 순 없겠습니다만 영화는 관객의 인식 차원이 특히 중요한 예술 형식입니다.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영화란 무엇인가? 이 자리를 위해 불러들인 괜한 질문 같으면서도 멋진 말로 설명해보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강의에서나 일상에서 이 질문을 던져보면 꽤나 많은 사람들로부터 ‘내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라는 답이 돌아옵니다. 영화를 그렇게 여기는 것도 좋습니다. 그러나 ‘내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는 영화 말고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 까닭에 이는 영화의 본질과 정체성을 묻는 질문의 핵심에서 빗겨간 대답입니다.
‘내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라는 말을 따져봅시다. ‘표현할 수 있는 도구’를 거치면 ‘내 생각’이 구체적인 상태가 됩니다. 그러면 그것을 나 아닌 다른 사람이 보고 들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는 매(개)체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내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매체는 영화말고도 많은 것이 있습니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건 그 의미를 알든 모르든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매체로 여기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영화라는 매체를 나를 중심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도 눈여겨볼만 합니다. 1980년대나 90년대였다면 ‘내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라는 대답이 흔치는 않았을 겁니다. 다시 말해서 지금은 영화를 나를 기준으로 바라보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입니다. 그렇다면 영화의 의미, 영화의 본질과 정체성이 이전 시대와는 달라진 것일까요?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합니다. 어떤 면에서 그러한가를 해명하기 이전에 이 대목이 시사하는 바를 다시 한 번 지적하고 싶습니다. 우리가 의외로 영화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점입니다.
당신은 아직 아무 것도 보지 못했다
영화는 예술 형식이기 이전에 매체입니다. 우리가 그것을 얼마나 인식하고 있든 이는 객관적인 사실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영화를 매체로 사고하는 일에 무딥니다. 게다가 언어를 배우거나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처럼, 영화 읽기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교육 체계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아쉬운 상황입니다. 그간 우리는 영화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가까워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지금은 기술 변화에 따라 매체의 또다른 가능성을 이야기하는 시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 영화가 무엇이며, 우리가 사는 세계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필요한 만큼 정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 까닭에 영화란 무엇인가에 대해 한 번쯤 검토해 봐야 합니다. ‘내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라는 대답에 비춰 보면 우리는 은연중에 영화가 매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이미 영화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누구나 한 번쯤 ‘저게 영화냐?’라는 비난조의 말을 해봤을 겁니다. ‘저게 영화냐’는 말은 영화다운 것과 영화답지 못한 것을 가르는 기준과 범위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즉, 영화의 정체에 대한 기준과 범위가 우리 안에 내재해 있는 것입니다.
하물며 온갖 종류의 사람들이 영화에 대한 글과 말을 곳곳에 쏟아내고 있습니다. 저를 통해서가 아니더라도 영화를 이해하고 영화에 다가갈 수 있는 통로나 방법은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습니다. 저는 조금 뻔한 이야기들을 해볼까 합니다. 우리가 이미 영화라고 여기고 있는 것의 형태를 조금 더 선명하게 드러내고자 합니다. 체감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을 이론적으로 밝혀 보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영화의 마력에 사로잡힌 즉흥적 인상이나 수집된 지식의 나열에 만족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에게 작게나마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우리 곁의 영화는 아래와 같이 진행되며, 강의를 옮긴 글임을 밝혀둡니다.
개요
1 알아도 써먹지 못하는 - 제작과정
2 무엇이 우리를 영화 앞에 붙들어 놓는가 - 내러티브 장치
3 신비로움을 구축하는 전략 - 영상과 소리
4 영화의 최종 병기 - 편집
[ACT! 100호 우리 곁의 영화] 신비로움을 구축하는 전략 - 이미지 : 영화의 얼굴 (0) | 2016.10.06 |
---|---|
[ACT! 98호 우리 곁의 영화] 무엇이 우리를 영화 앞에 붙들어 놓는가 – 내러티브 장치(2) : 영화 내러티브의 구성요소 (0) | 2016.05.12 |
[ACT! 97호 우리곁의영화] 무엇이 우리를 영화 앞에 붙들어 놓는가 - 내러티브장치 (1) 영화인가? 내러티브인가? (0) | 2016.02.24 |
[ACT! 95호 우리곁의영화] 알아도 써먹지 못하는 - 제작과정 (2) 상품으로서의 영화 (0) | 2015.10.27 |
[ACT! 94호 우리곁의영화] 알아도 써먹지 못하는 - 제작과정 (1) 매체로서의 영화 (0) | 2015.08.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