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ACT!

메뉴 리스트

  • 홈
  • ACT! 소개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730)
    • ACT! 소개 (14)
    • ACT! 공지 (65)
    • 미디액트 활동소식 (5)
    • 독립 미디어 세미나 (19)
    • 전체 기사보기 (931)
      • 길라잡이 (54)
      • 이슈와 현장 (192)
      • 리뷰 (124)
      • 인터뷰 (57)
      • 미디어인터내셔널 (67)
      • 페미니즘 미디어 (31)
      • 액티피디아 (7)
      • 영화사 입문 (7)
      • 미디어 큐레이션 (15)
      • Me,Dear (68)
      • Re:ACT! (132)
      • ACT! 편집 후기 (17)
      • 작지만 큰 영화관 (12)
      • 작지만 큰 영화제 (19)
      • 나의 미교이야기 (23)
      • ACT! 학습소설 (21)
      • 우리 곁의 영화 (10)
      • 릴레이 안부인사 (13)
      • 대담 - 10년을 논하다 (16)
      • [특별기획] 이강길을 기억하며 (16)
      • [특별기획] 박종필을 기억하며 (13)
      • [특집] 100호 특집기획 (14)
      • 포럼 - 새로운 전략과 프레임(완료) (3)
    • 휴재 (19)
      • 전미네의 담벼락(휴재) (8)
      • Act! 단신(휴재) (4)
      • PDF로 보기(휴재) (7)
    • 이전호(78호 이전) 아카이브 (675)
      • 길라잡이 (29)
      • 이슈와 현장 (179)
      • Re:ACT! (23)
      • 인터뷰 (43)
      • 읽을꺼리 (25)
      • 미디어꼼꼼보기 (24)
      • 금초딩의 그림일기 (9)
      • 미디어인터내셔널 (50)
      • 안녕!ACT! (6)
      • 안녕!2009! (6)
      • 특집 (71)
      • 리뷰 (13)
      • 연재 (16)
      • 퍼블릭액세스 (24)
      • 공동체라디오 (33)
      • 미디어교육 (14)
      • 사회운동과 미디어 (8)
      • 해외 소식 (14)
      • 뉴미디어 (10)
      • 독립영화 (13)
      • 수용자운동 (2)
      • 미디어운동 (28)
      • 미디어센터 (8)
      • 나, 미디어활동가 (7)
      • 돌고돌고돌고 (6)
      • 미디어로 행동하라! (9)
      • 스텝만세이~ (1)
      • 정책연구노트 (1)
      • 미디어 프로그램 가이드 (1)
      • 미디어 동향 클리핑 (1)

검색 레이어

ACT!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이전호(78호 이전) 아카이브/돌고돌고돌고

  • [ACT! 18호 돌고돌고돌고] 아! MP3~ (1)

    2016.08.18 by acteditor

  • [ACT! 19호 돌고돌고돌고] 아! MP3~ (2)

    2016.08.18 by acteditor

  • [ACT! 20호 돌고돌고돌고] 사연 많은 플레이어의 세계 (上)

    2016.08.17 by acteditor

  • [ACT! 21호 돌고돌고돌고] 사연 많은 플레이어의 세계 (下)

    2016.08.17 by acteditor

  • [ACT! 22호 돌고돌고돌고] 未濟 : 꼬리를 적신 여우

    2016.08.17 by acteditor

  • [ACT! 27호 돌고돌고돌고] [삼천포기행] DRM, 조낸 막는 거다.

    2016.08.17 by acteditor

[ACT! 18호 돌고돌고돌고] 아! MP3~ (1)

진보적 미디어 운동 저널 제18호 / 2005년 2월 28일 아! MP3~ (1) 金土日 (22세기형 엔터테이너, www.449project.com) 1999년부터 2000년에 걸쳐, 인터넷을 가장 뜨겁게 달구었던 존재는 주지하다시피 였다. P2P라고 불리는 파일 공유 기술의 존재와 의미, 힘을 대중적으로 전파하고 각인시켰으며, 오프라인의 수많은 법령과 강제들이 냅스터로 인해 한 순간에 우스갯거리가 되기도 했다. 많은 사람들은 냅스터의 미래가 온라인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떠들어댔다. 그러나 냅스터가 문을 닫은 지도 벌써 5년쯤은 더 된 것 같은데 미래가 결정되기는커녕 질서는 점점 더 복잡하고 우발적인 문제들과 만나야 했다. 자유로운 정보공유 문화는 점점 위축되어 가는데 정보공유의 당대적 키워드라고 할..

이전호(78호 이전) 아카이브/돌고돌고돌고 2016. 8. 18. 15:51

[ACT! 19호 돌고돌고돌고] 아! MP3~ (2)

진보적 미디어 운동 저널 제19호 / 2005년 3월 22일 아! MP3~ (2) 金土日 (22세기형 엔터테이너, www.449project.com) 편집자주: 은 지난호에서 볼 수 있습니다. MP3의 변태 MP3라는 새로운 저장 및 재생 장치가 등장하는 과정은 앞서 간략하게 이야기한 바와 같다. 조금만 덧붙이자면 MP3의 등장은 음반 산업 자본의 효과적인 투자와도 관련이 깊다는 점이다. 이미 각종 멀티미디어 저장 장치 등을 새롭게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경쟁에 의한 투자 위험을 경험했던 자본은 독점의 욕망을 ‘이겨내고’ 공동의 표준 포맷을 원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과정까지만 하더라도 MP3는 그들이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실제 MP3가 대중들에게 유통되기 시작하면서 그들에게는 생각지도 못했던 ‘..

이전호(78호 이전) 아카이브/돌고돌고돌고 2016. 8. 18. 15:31

[ACT! 20호 돌고돌고돌고] 사연 많은 플레이어의 세계 (上)

진보적 미디어 운동 저널 제20호 / 2005년 4월 29일 사연 많은 플레이어의 세계 (上) 金 土 日 ( 22세기형 엔터테이너, www.449project.com ) 지난 글들에서도 몇 차례 언급했었던 것이지만 레코드라는 존재는 그것을 가치 있도록 만들어주는 레코드플레이어와 결코 떨어뜨려놓고 생각할 수가 없다. 생각해보면 초창기의 레코드 판매는 레코드 자체보다도 그 플레이어를 팔기 위한 아이템에 지나지 않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당시의 광고들에 따르면 사람들이 레코드를 사기 위해서는 ‘축음기 파는 집’을 찾아가야 했었다. 에디슨의 포노그래프의 경우 자가(自家) 녹음을 주요한 기능으로 삼았던 까닭에 플레이어 위주의 판매 경향은 더욱더 분명했다. 레코드가 그 자체로 매력적인 상품이 될 수 있었..

이전호(78호 이전) 아카이브/돌고돌고돌고 2016. 8. 17. 17:00

[ACT! 21호 돌고돌고돌고] 사연 많은 플레이어의 세계 (下)

진보적 미디어 운동 저널 제21호 / 2005년 5월 25일 사연 많은 플레이어의 세계 (下) 金土日 (22세기형 엔터테이너, www.449project.com ) MP3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파일이 차세대 오디오 표준으로 자리 잡으면서 수많은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플레이어의 영역도 예외가 될 수는 없었다. MP3의 등장은 난 데 없이 PC를 오디오 플레이어로 바꾸어 놓았다. PC가 오디오 플레이로 변모하게 되자 이번에는 플레이어가 가만있질 않았다. 60년대 이래 청소년들의 방 안에서 ‘상상의 공동체', ‘저항의 공동체'를 구현해 주던 오디오 전용 기기들이 문 밖으로 내동댕이쳐졌고 마침내 레코드 산업에서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쌍끌이' 시스템이 파괴되었다. MP3가 P2P와 만나면서 대규모의 유통이 ..

이전호(78호 이전) 아카이브/돌고돌고돌고 2016. 8. 17. 16:01

[ACT! 22호 돌고돌고돌고] 未濟 : 꼬리를 적신 여우

진보적 미디어 운동 저널 제22호 / 2005년 6월 30일 未濟 : 꼬리를 적신 여우 金 土 日 ( 22세기형 엔터테이너, www.449project.com ) 돌이켜보면 레코드의 테크놀로지가 변할 때마다 우리의 음악 사회도 그에 조응하여 상당한 변화를 겪어 왔음을 깨닫게 된다. 기술의 변화에 조응하는 사회의 변화라는 것이 물론 음 악 사회만의 별난 특징은 전혀 아니다. 하버마스라고 하는 독일의 유명한 학자가 말하길, 효용성이나 생산성이 윤리적 가치를 배제하고 핵심적인 의사결정의 지침이 될 때 기술은 사회의 변화를 결정적으로 규정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런 것을 일종의 기술결정론이라고 했던가. 기술결정론의 시각이 긍정적이었든 아니면 부정적이었든 간에 음악사회 변화의 정 말이지 많은 부분들은 기술적 변화 ..

이전호(78호 이전) 아카이브/돌고돌고돌고 2016. 8. 17. 15:36

[ACT! 27호 돌고돌고돌고] [삼천포기행] DRM, 조낸 막는 거다.

진보적 미디어 운동 저널 제27호 / 2005년 12월 6일 [삼천포기행] DRM, 조낸 막는 거다. 金土日 (www.449project.com / 22세기형 엔터테이너) 모순(矛盾) 리눅스를 개발한 리누스 토발즈의 모습이다. 사람들은 이 사람을 해커라고 부르기도 한다. 컴퓨러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해커와 크래커를 구별하는데, 저널에서 통용되는 해커들은 사실상 크래커라고 불려야 한다는 거다. 이 단어, 다들 잘 알고 계시리라 믿는다. 한문이나 국어 시험 때 종종 등장하는 어휘이자 내 마음 안에도 항상 우글득시글대고 있는 어떤 것들을 표현해 주는 고사성어(故事成語)니 말이다. 이 뿐이랴. 이해관계가 얽히고설키는 인생의 모든 길목에서 우리는 이 단어를 마주하게 마련이다. 막는 자가 있으면 뚫는 자가 있는 법...

이전호(78호 이전) 아카이브/돌고돌고돌고 2016. 8. 17. 14:34

추가 정보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진보적 미디어운동 연구 저널 ACT!
ACT! © Mediact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티스토리툴바